* 본 포스팅은 480만원에서 3년만에 30억원을 만들었다는 유목민님의 <나의 월급독립 프로젝트>라는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저의 직접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책에 나와 있는 4가지 원칙을 지켜보겠습니다.
1. 장기 투자하지 마라
2. 5거래일 내에 승부보는 종목을 찾아라
3. 손절라인은 정확히 지킨다
4. 상한가는 내것이 아니다. 1%라도 수익나면 판다
*과장 하나 없이 실제적인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여러분도 제 경험을 밑거름 삼아 투자로 큰 결실을 맺기를 응원하겠습니다.
오늘 아침에 이런 기사를 봤습니다. 개장 전이었죠.
애플도 폴더블 폰 내놓나?…IT전문매체 “접는 아이폰 개발 중” - 매일경제
애플이 삼성전자의 갤럭시 Z플립과 같은 ‘접는’(foldable) 아이폰을 개발 중인 것으로 7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정보통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 은 이날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의 말을
www.mk.co.kr
삼성은 하지만, 애플은 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들 했지요.
그런데 이런 기사가 뜨면 어떤 업체가 뜰까요?
맞습니다. 폴더블 재료를 공급하는 중소기업이 움직일 겁니다.
조금 검색해 보니 이런 기사가 뜨네요.
“세경하이테크, 폴더블 시장 성장따른 외형성장 주목해야”<메리츠證>
[뉴스투데이=전소영 기자] 세경하이테크가 폴더블 시장 성장에 동반하는 외형성장을 기록하며 다시금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양승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4일 ‘세경하이테크-탐방노트: 다
www.news2day.co.kr
사실 이런 기사들은 이미 작년, 재작년에도 많이 떠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미 그런 기대감을 반영해서 주가가 많이 올라 있습니다.
시가 |
7,020
|
최고 |
7,090
|
최저 |
6,880
|
시가총액 |
2485.30억
|
주가수익률 |
64.60
|
배당수익률 |
0.95%
|
52-주 최고 |
7,840
|
52-주 최저 |
3,333
|
이미 최근 1년간 투배거가 되었네요.
너무 고점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하지만 우리의 목표는 단타이고, 1%의 수익입니다.
평상시에 폴더블 관련 기업으로 "세광 하이테크"를 리스트해 놓은 분이라면, 오늘 저 기사를 뜨고 아침에 개장하자마자 저걸 매집했을 겁니다.
그렇다면 저 기사 이후에 오늘 개장 이후에 주가의 흐름을 볼까요?
정확히 9시 10분에 움직이기 시작해서, 하루종일 5.97% 올랐습니다. 장 초반에만 샀더라도 2~3%의 수익은 거뜬히 내고 단타로 유유히 빠져 나왔을 겁니다.
이게 바로 저희가 평상시에 유심히 기사를 보고 공부하고, 기업들을 정리해놓을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일단 공부(기업들 정리)해 놓고, 뉴스 기사와 같은 '시그널' 또는 '재료'가 떴을 때 바로 움직여야 합니다.
그러면 너끈하게 수익을 챙길 수 있습니다.
그럼 앞으로도 같이 투자공부를 해서 같이 부자가 되어 볼까요?
[2024년 3월 8일자 추가 글]
위 포스팅을 2월 8일자에 올렸습니다. 정확히 1달 전입니다.
한 달 사이 세경하이테크 주가 변동을 볼까요?
그 사이에 뜬 기사입니다.
삼성 폴더블폰 뜯어본 애플… 내구성 부족에 ‘폴더블 아이폰’ 개발 중단
삼성 폴더블폰 뜯어본 애플 내구성 부족에 폴더블 아이폰 개발 중단 기존 출시 폴더블폰 구입해 자체 검사 화면 내구성 낮다 판단, 출시 사실상 보류 폴더블 아이폰 출시 불투명, 아이패드 미니
biz.chosun.com
어라? 이 기사를 보면 폴더블 관련 주식의 성장동력이 높아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 개의 기사가 더 뜹니다.
中 지난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比 114.5% 급증-Xinhua
독일 수도 베를린에서 열린 '2023 독일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IFA 2023)' 아너(榮耀·Honor)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이 지난해 9월 1일 폴더블폰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신화망 베이징 2월27
kr.news.cn
중국 시장의 규모가 어마어마하죠?
애플도 중단이 아니라, 보류입니다. 아마 애플도 폴더블 시장의 성장성을 무시하지 못할 겁니다.
세경 하이테크의 주가로 돌아가 볼까요?
한 달 사이에 약 15% 정도 상승했습니다. 물론 추세나 차트의 힘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추세의 힘을 역으로 이용하면 됩니다.
이미 많이 올랐으니, 위험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원칙 네 번째가 뭐였죠?
네, 저희는 장기투자가 목적이 아닙니다. 1%라도 수익이 나는 것에 목표가 있습니다.
추세의 힘이 있다는 말은 많은 매매가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즉, 이런 추세의 힘을 역으로 이용하면 1% 수익은 너무나 쉽게 달성가능할 겁니다.
다음 시간에는 실제 수익 실적을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모두들 재테크로 성공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