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의 소설. 몰랐는데 오만과 편견을 다 읽고 나서 찾아보니, 제인 오스틴은 1999년 영국 BBC방송의 '지난 1000년간 최고의 문학가' 설문 조사에서 극작가 셰익스피어에 이어 2위에 오른 작가라고 합니다. 문득 궁금하네요, 3위부터 10위까지 작가의 순위가 또 1999년에 조사한 거니 가장 최근에 조사한 것은 없는지도요. 어찌됐든 과장해서 말하면 제인 오스틴은 제 2의 셰익스피어, 여자 셰익스피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불룩하게 뒤로 튀어나온 오리궁둥이 치마, 꽉 조이는 코르셋의 복장, 차양을 드리우는 모자 등 영국 상류층 여성들의 복장은 어린 시절부터 숱하게 접해 온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익숙하실 겁니다. 오만과 편견 또한 영화화가 많이 되었고, 역시나 영국 상류층 여성들의 삶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으로 고전에 기반한 영화는 별로 선호하지 않는 탓인지 오만과 편견을 영화로 본 적은 없습니다. 또한 로맨스 소설이라는 말을 들어서 선뜻 손이 가지 않았습니다. 세상에 읽어야 할 것들이 많이 있는데, 즉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처럼 선과 악에 대해 고뇌하며 인간의 밑바닥까지 긁어내는 소설들이 "고전"이라는 말을 듣기에 마땅하다는 믿음 같은 게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갑자기 읽게 됐냐고요?
누군가 재미 있다고 했습니다. 21년은 소설이라면 치를 떨던 제가 소설로 발을 내딛게 된 시기이며, 굳이 소설을 읽어야 한다면 인간에 대한 통찰력이 담겨져 있는 고전소설들을 읽어야 한다는 신념을 깨진 해이기도 합니다. 소설은 치열한 어떤 고민들이 담겨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는데, 그걸 완전히 깨준 책이 바로 기욤 뮈소의 책들이었습니다. 그 첫 책이 바로 기욤 뮈소의 “구해줘”였습니다. 아직 안 읽어보신 분들에게는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소설이 이렇게까지 재미 있어도 되는 것일까, 소설은 진중해야 하잖아, 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렇게 재미 있으면 평생 책을 잡지 않을 것 같은 사람들조차 책을 가까이 하겠구나, 라는 그 나름의 유용함을 인정하고 말았습니다. 그 이후에는 어떻게 하면 기욤 뮈소처럼 재미있는 소설을 쓸 수 있을까, 궁금해졌습니다. 제가 기욤 뮈소의 소설에서 시간 가는 줄 모르는 행복감을 느꼈으니, 저 또한 그렇게 한 번 써 보고 싶었습니다. 기욤 뮈소 뿐만 아니라, 내가 쓴 소설도 사람들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본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이후로 재미있다는 소설들을 되도록 많이 보려고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도 너무 가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 역시나 아직까지는 대중소설은 가벼운 것이다, 라는 인식은 깨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만 - 세계고전문학 읽기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오만과 편견'은 대중소설이 추구하는 재미와 세계고전문학이 추구하는 문학성과 깊이를 동시에 엿볼 수 있기에 상당히 매력적인 선택지였습니다.
'오만과 편견'이라는 제목을 들을 때마다 어린 저는 왜 로맨스 소설인데 제목을 저렇게 지었을까, 하고 궁금해 왔습니다.
영어로는 Pride and Prejudice.
알파벳 P로 시작하는 두운법으로 원제를 지었는데 한국말로 옮기면서 그 맛을 잃어버렸습니다. 영어에 관심이 많았던 저는 늘 이 부분이 아쉬우면서 제 딴에 머리를 굴려보곤 했습니다.
오만과 오판.
이 정도가 제가 생각하기에 원제의 두운법을 살린 가장 적절한 번역이었지만, 소설 내용을 읽지도 않은 제가 그렇게 강력하게 주장할 수 없었기에 어디 가서도 제 의견을 말할 기회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소설을 다 읽고 나서 보니, 나쁘지 않은 제목 같습니다.
제목 이야기를 좀 길게 늘어놨는데,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소설 속으로 들어가 볼까요?
1. 소설 속으로
생각해 보니 제가 이 책을 어릴 적부터 몇 차례 시도를 해 봤습니다. 물론 원서로 도전을 했습니다. 집에 영어원서가 있습니다. 한때 꽤나 영어공부에 빠져 들어서 영어원서 읽기를 즐겨 했었습니다. 하지만 대중 소설은 어느 정도 읽을 수 있었으나 - 재미도 있고 문체나 어휘수준이 가벼워서 - 고전을 원서로 읽는 것은 상당히 버거웠습니다. 일단 어휘가 예스러워 술술 읽기가 어려웠습니다.
게다가 영어 원서로 접한 첫 문장은 저에게 거부감을 주었습니다.
It is a truth universally acknowledged, that a single man in possession of a good fortune, must be in want of a wife.
However little known the feelings or views of such a man may be on his first entering a neighbourhood, this truth is so well fixed in the minds of the surrounding families, that he is considered
the rightful property of some one or other of their daughters.
재산깨나 있는 독신 남자에게 아내가 꼭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진리다.
이런 남자가 이웃이 되면 그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을 거의 모른다고 해도, 이 진리가 동네 사람들의 마음속에 너무나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어서, 그를 자기네 딸들 가운데 하나가 차지해야 할 재산으로 여기게 마련이다. - 민음사
# 더 읽고 싶으시다면?
'소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효석 문학상 대상 수상작: 이서수 작가의 "미조의 시대" (0) | 2021.11.22 |
---|---|
이야기의 제왕 스티븐 킹의 추리소설: 미스터 메르세데스 (0) | 2021.11.22 |
소설 미드나잇 라이브러리 완독리뷰 : 그저 삶을 사세요! (스포만땅) (0) | 2021.07.31 |
미드나잇 라이브러리: 인생이 비참하시나요? 불행하다고 느껴지세요? 그런 당신께 드립니다. (0) | 2021.07.30 |
레미제라블 : 지금 당신의 인생이 가장 힘드시다고 생각되시나요? (0) | 2021.07.05 |
댓글